목록분류 전체보기 (1248)
천사닷컴이야기

캐리어 중형 에어컨의 실외기 구조를 보기 위해 커버를 분리하였습니다. 영상에 나오는 실외기는 두 대이며 두 실외기의 차이점은 역상 감지기가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입니다. 이번 실외기는 역상 감지기가 없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캐리어 중형 에어컨의 실외기 배선도를 보면서 실외기의 구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2_C_qafFEoM

대형 에어컨의 실외기 구조를 보기 위해 전면 커버를 분리하였습니다. 대형 에어컨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소형 에어컨에는 없는 부품에 대해서도 알아야 가능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실외기의 배선도를 보면서 대형 에어컨의 실외기가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cgIZGqmTDFk "

실외기에서 냉매가 샌다면 어떤 방법으로 누설 부위를 찾아야 할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실외기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부위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고압 측이나 저압 측 중 한 곳에 실외기의 압력을 알 수 있는 게이지를 설치합니다. 냉매를 충전합니다. 이때 질소로만 충전해서 누설 부위를 찾을 수도 있지만 만약 누설 부위 탐지가 쉽지가 않아 냉매 누설 탐지기까지 사용할 계획이라면 냉매와 질소를 함께 충전합니다. 어느 정도 냉매를 충전하고 나머지를 질소로 충전합니다. 냉매가 들어가는 대로 계속 놔두었더니 5kg 정도 충전이 되었습니다. 질소를 충전합니다. 충전 압력은 30kg 정도로 충전하며 미세 누설의 경우 상황에 따라 40kg 정도까지 충전하시면 됩니다. 비누 거품을 이용..

에어컨 실외기를 매입했는데 실외기 내부에 냉매가 하나도 없어서 점검 중입니다. 펌프다운을 하지 않고 그냥 배관을 잘라서 철거를 한 것인지 아니면 실외기의 내부에서 냉매가 새는 것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다행스럽게도 냉매누설 부위는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진공 작업 직후에 체크한 매니폴드게이지의 최초 바늘의 위치가 변함이 없습니다. 냉매를 채우기 전에 냉동오일을 먼저 넣어줍니다. 실외기가 진공이 잡힌 상태에서 매니폴드게이지의 노란색 호스를 오일이 담긴 종이컵에 담그고 매니폴드 게이지의 저압측 손잡이를 돌려 열어주면 오일이 실외기로 서서히 빨려 들어가게 됩니다. 주입하는 오일의 양은 에어컨의 크기와 철거 시 배관의 길이 그리고 이전 설치의 횟수에 따라 정해집니다. 하지만 이 모든 상황을 모두 알 수..

냉난방기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설치가 아니고 임시로 설치한 것이라 설치된 모양이 깔끔하지 않으니 양해 바랍니다. 현재는 진공 작업 중입니다. 이제 전원 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전원 선에 터미널을 연결합니다. 전원이 3상 4선식이라서 총 4개씩 양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테이프를 감아줍니다. https://youtu.be/CnSAibmDeeM

일하는데 필요한 자재를 구입하기 위해 에어컨 자재상에 들렀습니다. 이왕 들른 김에 에어컨 설치 시 사용하는 자재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외기 설치대가 난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에 설치 장소가 있는 경우 혼자서 실외기를 밖으로 내릴 때 유용한 도구입니다. https://youtu.be/D2eDwO6O1b4

벽걸이 에어컨에서 찬바람이 안 나와서 점검 중입니다. 고압 배관이 하얗게 얼어있네요. 이런 경우는 우선 냉매 부족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그래서 냉매를 보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얗게 얼었던 부분이 사라지는 것이 보입니다. 이렇게 배관의 상태를 보고도 냉매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https://youtu.be/SDnZijAl0Zs

벽걸이 에어컨을 청소 중입니다. 이제 청소가 끝나고 조립 중입니다. https://youtu.be/O2uuLV4J9Z0

에어컨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분해하였습니다. 내부가 많이 지저분합니다. 에바(증발기)에도 먼지가 엄청나게 많이 붙어있네요. 에바 세척을 위해 세척제를 골고루 뿌려줍니다. 알루미늄 에바는 먼지가 있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물을 뿌려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먼지가 잘 빠지고 세척기의 물살에 의해 에바의 안쪽으로 먼지가 박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습니다. 알루미늄 에바는 동 에바에 비해 세척하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많이 까다롭습니다. 아직 덜 지워진 부분은 솔로 꼼꼼하게 문질러줍니다. 다시 세척액을 뿌려줍니다. 이때 하얀 거품으로 꽉 차게 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바닥에 깨끗한 물이 흐를 때까지 물을 뿌려줍니다. https://youtu.be/BcQPGoXI4r8

에어컨을 설치할 때 배관을 보온재로 감싸준 후에 전선과 함께 보온 테이프(마감 테이프)로 다시 한번 감싸주는 작업을 합니다. 테이프를 감을 때 탄탄하게 감을 수 있도록 중간중간 힘을 주어 당기면서 감아줍니다. 감을 때 50% 정도 겹치게 감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https://youtu.be/XN_l375LGF8

이번 영상에서는 모터에서 흔히 발생하는 소음을 수리하기 위해 모터를 분해하고 있습니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 소음은 대부분 모터의 내부에 있는 베어링에서 발생합니다. 그래서 모터를 분해해서 베어링을 교환해 보겠습니다. 과연 교류용 모터의 내부는 어떻게 생겼고 베어링은 어떻게 교환하는지 영상을 눈여겨보시기 바랍니다. 베어링을 빼는 도구는 기어 풀어 혹은 베어링 풀어, 뿌리 누치, 기어 풀리, 베어링 풀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그리고 베어링을 거는 발은 2개짜리와 3개짜리가 많이 쓰입니다. 새 베어링으로 교환을 하려는데 잘 안 들어가네요. 이런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해 줘야 합니다. 베어링을 끼우기 전에 WD를 살짝 뿌려주면 더 잘 들어갑니다. 조립 전에 베어링용 그리스를 발라줍니다. 모터에는 베..

매입해온 중고 에어컨을 점검하기 위해 배관을 임시로 연결 중입니다. 중고 에어컨을 매입해오면 제품에 이상이 있는지 면밀하게 검사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판매 후 제품의 고장으로 인하여 재방문을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공 작업 중에 드라이기를 이용해서 테이프와 스티커를 제거해 줍니다. 그리고 모든 점검이 완료되면 세척작업으로 마무리합니다. 진공 작업이 끝나면 냉매를 주입하고 시운전을 합니다. https://youtu.be/TMPd-c3HbFY

에어컨 실외기 작동 시 마그네트 스위치에서 간혹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다다다 하는 소음이 가끔 혹은 연속해서 나기도 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소음이 나는 원인과 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dAk4Vn-OObk

에어컨 설치 중 배관을 용접하고 있습니다. 영상에서 나오는 배관은 동접합 알루미늄 배관입니다. 동접합 알루미늄 배관은 알루미늄 배관의 양쪽 끝부분만 동으로 용접이 되어 있습니다. 동접합 알루미늄은 용접 시 너무 오랫동안 가열을 하면 접합부위가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최대한 빠르게 용접을 해야 합니다. https://youtu.be/tP3s1EfvG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