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에어컨설치 (70)
천사닷컴이야기

냉난방기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설치가 아니고 임시로 설치한 것이라 설치된 모양이 깔끔하지 않으니 양해 바랍니다. 현재는 진공 작업 중입니다. 이제 전원 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전원 선에 터미널을 연결합니다. 전원이 3상 4선식이라서 총 4개씩 양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테이프를 감아줍니다. https://youtu.be/CnSAibmDeeM

일하는데 필요한 자재를 구입하기 위해 에어컨 자재상에 들렀습니다. 이왕 들른 김에 에어컨 설치 시 사용하는 자재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외기 설치대가 난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에 설치 장소가 있는 경우 혼자서 실외기를 밖으로 내릴 때 유용한 도구입니다. https://youtu.be/D2eDwO6O1b4

에어컨을 설치할 때 배관을 보온재로 감싸준 후에 전선과 함께 보온 테이프(마감 테이프)로 다시 한번 감싸주는 작업을 합니다. 테이프를 감을 때 탄탄하게 감을 수 있도록 중간중간 힘을 주어 당기면서 감아줍니다. 감을 때 50% 정도 겹치게 감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https://youtu.be/XN_l375LGF8

이번 영상에서는 모터에서 흔히 발생하는 소음을 수리하기 위해 모터를 분해하고 있습니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 소음은 대부분 모터의 내부에 있는 베어링에서 발생합니다. 그래서 모터를 분해해서 베어링을 교환해 보겠습니다. 과연 교류용 모터의 내부는 어떻게 생겼고 베어링은 어떻게 교환하는지 영상을 눈여겨보시기 바랍니다. 베어링을 빼는 도구는 기어 풀어 혹은 베어링 풀어, 뿌리 누치, 기어 풀리, 베어링 풀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그리고 베어링을 거는 발은 2개짜리와 3개짜리가 많이 쓰입니다. 새 베어링으로 교환을 하려는데 잘 안 들어가네요. 이런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해 줘야 합니다. 베어링을 끼우기 전에 WD를 살짝 뿌려주면 더 잘 들어갑니다. 조립 전에 베어링용 그리스를 발라줍니다. 모터에는 베..

매입해온 중고 에어컨을 점검하기 위해 배관을 임시로 연결 중입니다. 중고 에어컨을 매입해오면 제품에 이상이 있는지 면밀하게 검사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판매 후 제품의 고장으로 인하여 재방문을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공 작업 중에 드라이기를 이용해서 테이프와 스티커를 제거해 줍니다. 그리고 모든 점검이 완료되면 세척작업으로 마무리합니다. 진공 작업이 끝나면 냉매를 주입하고 시운전을 합니다. https://youtu.be/TMPd-c3HbFY

에어컨 실외기 작동 시 마그네트 스위치에서 간혹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다다다 하는 소음이 가끔 혹은 연속해서 나기도 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소음이 나는 원인과 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dAk4Vn-OObk

에어컨 설치 중 배관을 용접하고 있습니다. 영상에서 나오는 배관은 동접합 알루미늄 배관입니다. 동접합 알루미늄 배관은 알루미늄 배관의 양쪽 끝부분만 동으로 용접이 되어 있습니다. 동접합 알루미늄은 용접 시 너무 오랫동안 가열을 하면 접합부위가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최대한 빠르게 용접을 해야 합니다. https://youtu.be/tP3s1EfvG88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에 배관을 연결하려면 사라기를 이용하여 배관 양 끝단에 사라를 내야 하는데 이때 사라기가 필요합니다. 사라기의 종류에는 자동사라기, 반자동사라기, 수동사라기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자동사라기를 이용하여 사라를 내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s://youtu.be/MhbLavzCt4c

이번 영상에서는 캐리어 에어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실외기의 내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https://youtu.be/Y8ngKbWqqXI

동파이프 용접을 하다 유난히 시간이 많이 걸리고 용접이 안된다면 일단 중지하시기 바랍니다. 에어컨 배관 내부에는 냉매뿐만 아니라 냉동오일이 함께 흐르는데 이 오일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관이 아래쪽으로 굽어진 경우나 일부 구간에는 오일이 다량으로 모여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분을 용접할 경우 용접이 잘 안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세한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https://youtu.be/xGHP9NOI8PQ

에어컨에서 타는 냄새가 난다고 하여 점검 중입니다. 매립형 배관이며 실내기의 뒷부분이 의심되어 실내기를 분리한 상태입니다. 점검 결과 매립 배관에서 전선에 열이 발생하여 타는 냄새가 나고 있었습니다. 하마터면 큰일이 날뻔했네요. 끊어진 전선을 연결할 때에는 반드시 슬리브를 사용해야 하겠습니다. 다음은 슬리브를 사용한 전선 연결 방법입니다. 우선 선의 피복을 벗긴 후 전선을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잘라줍니다. 각 선의 피복을 벗긴 후 슬리브를 끼우고 압착시켜줍니다. 반대편의 선도 먼저 자른 선의 길이에 맞게 잘라줍니다. 수축 튜브를 끼워줍니다. 반대편 선을 끼운 후 슬리브를 압착합니다. 수축 튜브가 밀착될 수 있도록 불을 대어 줍니다. 먼저 벗겨낸 전선의 피복을 이용해 전선을 감싸준 후 절연테이프로 감아..

이제 막 에어컨 수리업에 입문하시는 분들 중에 회로도나 결선도를 잘 이해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가장 간단한 실외기 결선도를 이용해서 결선도를 쉽게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또한 실내기 없이 실외기만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영상에서의 내용은 정속형 에어컨이며 실외기에 PCB가 없는 제품에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제조회사와 제품별로 결선도가 다르며 연결하는 방법도 다르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전자접촉기에 누름 버튼이 있는 경우에는 누름 버튼을 눌러주면 실외기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ZkD8JfqZBwE

에어컨에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방법은 제품마다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실외기가 두 개인 대형 냉난방기 설치 시 신호선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외기가 두 개인 관계로 신호 선도 일반 에어컨과는 다릅니다. 과연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시죠. 영상에 나오는 제품은 전기히터식 냉난방기이므로 에어컨과 동작 방식은 동일합니다. https://youtu.be/gHylkPMZfu4

에어컨의 구조를 이해하려면 가장 단순한 정속형 에어컨의 실외기부터 알아야 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비교적 이해하는데 부담이 적은 정속형 벽걸이 에어컨의 실외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WD8UM4mha90